영어 논문작성 전략 가이드
- oxford writing
- 6일 전
- 3분 분량
해외 학술지 논문 게재를 위한 영어논문 작성 전략 가이드

대학원 생활을 하다 보면 누구나 한 번쯤 “국제 저널에 논문을 게재하고 싶다”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학문적으로 인정받고 싶은 마음, 졸업이나 취업, 연구 경력에 도움이 되기 때문이죠. 특히 SCI(E)급 해외 저널에 논문이 실리면 자신의 연구가 국제적으로도 의미가 있다는 평가를 받는 것이기에, 많은 연구자들이 이를 목표로 삼습니다.
하지만 영어로 논문을 작성하고, 그것을 출판하는 일은 결코 간단하지 않습니다. 특히 처음 시도하는 대학원생이나 비영어권 연구자라면 막막함부터 느끼기 쉽습니다.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영어논문을 준비하는 데 꼭 필요한 전략을 간단하지만 실질적으로 풀어드리려 합니다.
1. 논문 작성 전 준비: 철저한 선행연구 조사부터
논문을 쓰기 전에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자신이 어떤 분야의 어떤 주제를 다룰지 명확히 설정하는 것입니다. 이때 중요한 것은 해당 분야에서 지금 어떤 이슈가 논의되고 있는지를 파악하는 것입니다. 이미 어떤 연구가 진행되었고, 현재 어떤 논점이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지를 알고 있어야 ‘연구의 공백(gap)’을 찾을 수 있습니다.
이런 작업에는 신뢰도 높은 인용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대표적으로는 Web of Science나 Scopus가 있습니다. 이들 플랫폼은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논문들, 즉 SCI(E)급 논문들을 포함하고 있어, 최신 연구 동향을 파악하는 데 매우 유용합니다.
💡 Tip: 대학교 도서관 홈페이지를 통해 이들 DB에 접속하면 무료로 열람할 수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2. 저널 선정: 나의 논문에 가장 잘 맞는 저널 찾기
논문을 쓸 때 "어디에 낼 것인가?"는 초기에 고민해야 할 중요한 부분입니다. 그냥 아무 저널에 제출하는 게 아니라, 자신의 연구 주제와 가장 잘 맞는 저널을 미리 선정하고 그 저널의 스타일과 요구사항에 맞춰 논문을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때 확인해야 할 대표적인 기준이 바로 임팩트 팩터(IF)입니다. 이는 그 저널의 영향력을 수치로 나타낸 지표로, 얼마나 자주 인용되는지를 기반으로 계산됩니다. IF는 Journal Citation Reports (JCR)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분야별로 IF 상위 저널을 정리해두었기 때문에 이를 참고하면 유리합니다.
3. 영어 논문의 기본 구성 요소 익히기
영어 논문은 형식이 어느 정도 정해져 있기 때문에, 이 틀을 잘 이해하고 따르는 것이 중요합니다. 일반적인 논문 구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Title (제목): 논문의 핵심을 간결하게 표현
Abstract (초록): 연구 목적, 방법, 결과, 의의를 요약
Keywords: 검색에 도움이 되는 핵심 단어들
Introduction (서론): 연구 배경, 필요성, 문제 제기, 목적 등 서술
Methods (연구 방법): 실험이나 조사 방법, 데이터 수집 방식 설명
Results (연구 결과): 수집된 데이터를 표, 그래프 등을 통해 제시
Discussion (고찰): 결과 해석, 기존 연구와의 비교, 의의 및 한계
Conclusion (결론): 연구 결과의 핵심 요약, 향후 연구 제안
References (참고문헌): 인용한 모든 문헌 명시
이 구조를 따르면서도 저널마다 세부 양식이나 스타일 차이가 있기 때문에, 투고하려는 저널의 'Author Guidelines'를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4. 논문 제출 및 출판 과정
논문을 다 썼다고 끝이 아닙니다. 이후에는 논문 제출과 출판을 위한 절차를 따라야 합니다. 이때 가장 먼저 작성해야 할 것이 Cover Letter입니다. Cover Letter는 단순한 겉표지가 아니라, 해당 논문이 왜 이 저널에 적합한지를 편집자에게 설득력 있게 설명하는 글입니다.
또한 출판 전에는 출판윤리 문제, 즉 표절이나 중복게재 여부를 사전에 체크해야 합니다. 일부 저널은 Turnitin이나 iThenticate 같은 표절 검사 시스템을 통해 검토하기도 하므로, 연구자는 철저히 자율 점검을 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논문이 리뷰어에게 보내지면, 수정 요청이 들어오거나 보완이 요구됩니다. 심사자들이 긍정적인 의견을 주더라도 최종 게재 여부는 편집자의 권한이라는 점도 기억해두세요.
5. 도서관과 기타 지원 활용하기
논문 작성이 익숙하지 않은 연구자를 위해, 대부분의 대학 도서관에서는 영어 논문 작성 관련 책자를 비치해두고 있습니다. 또한, 학기 중에는 DB 활용 교육, 논문 작성 특강, 워크숍 등도 수시로 열립니다. 이러한 기회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면 논문 작성에 필요한 실제적인 기술을 빠르게 익힐 수 있습니다.
마무리하며
영어 논문 작성은 단기간에 완성되는 과제가 아닙니다. 그러나 올바른 전략과 체계적인 준비를 통해 충분히 도전해볼 수 있습니다. 첫 도전이 어렵게 느껴질 수 있지만, 위에서 소개한 단계들을 차근차근 밟아나가면 좋은 성과로 이어질 것입니다. 도서관의 다양한 자원을 활용하고, 주변의 조언을 적극 수용하면서 한 걸음씩 나아가 보세요.
논문 작성에 도움이 필요하신가요? 컨설팅 부터 논문완료까지 옥스포드 라이팅에서 책임져드립니다^^
카카오톡 상담 : SDSANGDAM
Comments